티스토리 뷰

목표 및 범위 수립

환경분석 결과를 토대로 UI/UX 개발을 수행하고자 하는 목적 및 목표를 정의할 수 있다.목표에 따라서 수행하고자 하는 범위를 수립할 수 있다.

1. 목표 설정 규칙 SMART

    무엇을 달성한 것인가 분명하게,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분명히 알 수 있게, 목표 달성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현실적으로 적절하고 실현 가능하게, 적절한시간과 시기가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SMART” 기법이다 Specific: 구체적

개념구체적이고 확실한 것이어야 한다.

  • 세부목표는 상세한 성과요건이므로 구체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상위목표에서 제시한 사항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전체 계획의 의 모태가 되어야 한다.
  • 개념 수시로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 모든 목표는 그 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 달성도를 측정할 수 없는 목표는 무의미하다. 그러므로 세부목표는 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가능한 한 정량적이어야 한다. 세부목표의 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은 수량, 횟수 및 기간 등이 고려될수있다.

Action-oriented: 행동중심 혹은 Agree-to 구성원의 동의

  • 개념 이론적인 방법론에서 벗어나 행동위주로 계획을 세워야 한다
  • 행동지향적이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 및 관련자들의 동의에 기반한 자발적 참여가필수적이다. 구성원이 동의할 수 없는 세부목표를 설정하고 실행을 요구한다면 그러한 세부목표는 효율적으로 실행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불만의시작점이 되어 타격을 줄 수 있다.

Realistic 현실적 혹은 Reasonable 합리적

  • 자신의 능력. 활용 가능한 자원. 시기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인 것이어야 한다
  • 세부목표는 충분히 달성될 수 있도록 합리적이어야 한다. 현재의 기술과 역량으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설정하고나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나 경제적으로 불가능한 경우 등은 합리적이라 할 수 없다

Time-bounded 제한시간이 있는

  • 일의 마감시간을 정하는 것은 목표달성에도 도움이 된다
  • 목표달성에 소요되는 시간 기간이 고려되어야 한다. 언제까지 세부목표를 달성할것인지가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달성 기간이 없는 세부목표는 실천될 수 없기때문이다

범위

  • 범위 정의의 목적은 프로젝트 최종 상태를 정의함으로써 목적, 인도물, 요구사항 및 영역등 프로젝트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즉 프로젝트 산출물에포함시킬 사항과 제외시킬 사항을 정리하고 통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프로젝트의 범위는 모든 프로젝트 목표 및 작업과 이를 완수하는 데 필요한 작업 시간의 조합이다.

범위 설정 방법

  • 전문가 판단: 해당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섭외하여 그들의 판단력과전문성을 활용해야 한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일대일 미팅, 면담 등을 실시하거나 핵심그룹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통해서도 전문가 판단을 구할 수 있다
  • 제품분석프로젝트의 산출물이 서비스가 아닌 제품인 경우 제품분석이 프로젝트 범위를 정의하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 대안식별대안식별은 프로젝트 작업을 실행 및 수행하는 방법으로 다른 대안 또는 접근방식을개발하는 기법이다. 다양한 일반경영기법이 사용되며,가장 일반적인 것으로는 브레인스토밍, 수평적 사고 등이 있다.
  • 심층워크숍프로젝트 이해관계자가 워크숍이란 수단을 이용하여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집중적으로정의할 수 있다. 워크숍은 다기능(Cross-Functional) 요구 사항을 신속히 정의하고, 이해관계자들 간에 존재하는 상이한 견해를 조정하는데 유용하다. 대화식으로 운영되는 심층토론 세션은 참여자간에 신뢰를 증진하고, 협력관계를 조성하며,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기 때문에 이해관계자들간의 합의를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다
댓글
© 2018 webstoryb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