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개발자도구 웹 개발자 도구란 웹게발에 있어서 필요한 여러가지 분석작업 실시간으로 수정해서 테스팅하는것을 도와주는 도구이다. 웹페이지에 html코드가 보고싶을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검사라는 것을 눌러 코드를 본다. 페이지 소스보기도 html코드를 볼수있다. 페이지에서 검사를 눌러 페이지 소스를 볼떄 화살표 모양 옆에 toggle Device mode라는 것이있는데 toggle 라는것은 스위치를 누르면 켜지고 누르면 꺼지는 스위치를 뜻한다. 디바이스는 장치라는 뜻이다. toggle을 누르게 되면 데스크탑에서 웹페이지를 만들기 좋은 크기들을 시뮬레이션해주는 도구다.

모바일 지원 (viewport) 작은 화면이나 테블릿에서도 잘 볼수있게 만드는 과정 웹 브라우저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 검사를 하고 스마트폰처럼 생긴 아이콘을 눌러 크기조절을 한다. meta태그를 만들고 그안에 name을 viewport라고 지정해서 content안에 width를 적고 device를 적어준다 width는 폭이라는 뜻이고 device는 장치라는 뜻이다. 즉 화면의 폭을 디바이스의 폭 만큼 지정해라 라는 그런 의미의 meta태그이다. 그뒤에 initial-scale을 1.0으로 하게되면 웹페이지의 화면을 확대하지도 않고 축소하지도 않은 상태로 시작해라 라는 뜻이다.

의미론적 태그 semantic이란의미론적인 이라는 뜻이다 semantic이란 추상적이고 광범위하다.(생활코딩 선생님도 잘 모름) html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 정보들을 의미에 맞게 잘 표현하기 위한 여러가지 태그들이 등장한다. 헤더는 기능없음 h1이 있고 없에 따라서 컨텐츠의 크기가 달라진다.(시각적인 기능이있다.) li 각각의 리스트로 표현해줌 nav 내비게이션:컨텐츠 탐색할떄 정보가 이것이다 라는 것이 이 태그이다. article:본문을 쓰고 싶을떄 여러번쓰고 section으로 묶어줄수있다 섹션은 의미론적 태그입니다. article과section의 차이는 header은 header section이라는 것이고 즉 header의 역할을 하는 section이라는 것이다. section은 정의하기 애매한 것..

버튼 input요소로 생성하는 버튼과 같지만, 이미지나 텍스트등을 포함하고 있어 유연한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autofocus : 페이지를 로드할때 해당 요소가 자동으로 포커스를 받도록 지정합니다. disabled : 포커스, 선택, 변경 등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하고 데이터도 서버에 전송하지 않는다. 불리언 속성입니다. name="이름" : 버튼의 식별자를 지정합니다. type=버튼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submit : 폼을 제출합니다. 기본값입니다. reset : 폼을 리셋합니다. button :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value="값" : 전송되는 데이터의 초기값 지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