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학습목표
• 사용자의 니즈(needs)와 제공하는 콘텐츠 간의 갭(gap)을 분석할 수 있다.
• 갭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 갭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결정한 콘텐츠 방향성에 따라서 주요 콘텐츠 수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파편화되고 불명확한 방대한 정보를 논리적이고 응집력 있는 그룹 으로 조직화하고 분류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의 결과물로는 제한된 그룹의 수이며, 기대하 는 목적은 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발굴하거나 문제를 좀 더 이해하는 것이다.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활용 유형 (크게 3가지 유형에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활용한다.)
- 아이디어 도출이 목적인 브레인스토밍 세션
- 문제 해결을 위한 세션
- 고객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세션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프로세스
- 토픽이나 문제를 명료하게 정의한다.
- 팀별로 인덱스카드나 부착 가능한 노트를 제공한
- 카드에 아이디어나 이슈를 기술한다.
- 벽면에 카드를 붙인다.
- 팀별로 조용하게 카드를 분류한다.
- 카드를 그룹핑한 각각의 그룹에 레이블을 기술한다
- 중복된 카드는 제거한다.
- 필요 시, 관련성 있는 아이템이나 그룹을 추가하고 재그룹핑 후 상관성을 분석한다.
수행 tip
- 아이디어 관련 최종적인 결론을 내기 위한 토론은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완성한 이후에 한다.
- 팀별로 작업하는 도중에 대화하는 말(verbal)을 녹음한다.
- 좋은 결과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으로 팀을만들었을 때이다.
댓글
© 2018 webstoryb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