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키보드 사용 보장
키보드 사용 보장이란 기본적으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조작 이외에도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에 대해서 키보드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키보드 사용 보장의 필요성
- 시각장애, 상지장애, 운동장애인과 같이 마우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사용자가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용자의 경우도 마우스 없이 이용해야 할 때 키보드 입력을 통해 좀 더 빠르고 정확한 컨트롤이 가능해집니다.
키보드 사용보장 검사항목 해설
- 자유롭게 움직이는 아날로그적인 기능이나, 시뮬레이션과 같은 콘텐츠, 입체적인 시각화 기능이나 마우스를 끌어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 등에 대해서는 이 검사 항목을 예외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사례는 마우스에 대응되는 키보드 이벤트 핸들러를 적용하지 않아 키보드 접근이 안 되는 경우입니다. 키보드 포커스가 해당 버튼에 초점을 받았을 때와 초점이 영역을 벗어났을 때에는 동작하지 않아 키보드 사용자는 이용할 수 없게 됩니다.
- 세 번째 사례는 readonly 속성을 사용하여 키보드 접근이 안 되는 경우입니다. 키보드로 우편번호를 선택할 수 없고, 버튼은 자바스크립트에 의존적으로 구현되어 있다면, 해당 기능을 키보드만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네 번째 사례는 마우스에 종속적인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사용하여 키보드로 이용할 수 할수없 는 경우입니다.
키보드 사용 보장의 의 주의사항
- 첫 째로 반드시 IE8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둘째로 onkeypress, onkeydown, onkeyup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여 키보드로 제어가 불가한 경우 감점됩니다.
- 셋째로 지리정보(GIS) ,가상현실(VR) 콘텐츠의 경우 예외 인정하나 기타 인터페이스는 키보드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넷째로 키보드로 탭 메뉴에서 탭1→탭2→탭3으로 이동하여 모든 탭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고, 다섯 번째로 onfocus=“this.blur();“를 사용하는 경우 검사항목 8, 9, 19에서 동시 감점됩니다.
- 다섯 번째로 onfocus=“this.blur();“를 사용하는 경우 검사항목 8, 9, 19에서 동시 감점됩니다.
- 플래시 콘텐츠의 wmode 값을 transparent 또는 opaque로 지정하게 되면 화면낭독기로 인식이 불가합니다. 단, 키보드 포커스가 불필요한 플래시 콘텐츠의 경우 transparent 또는opaque를 사용하되 정보가 있는 경우 대체 콘텐츠로 제공합니다.
초점 이동
- 초점 이동은 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사용자가 운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현재의 초점의 위치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초점 이동 제공방법
- 초점 이동 제공방법은 키보드 초점을 받은 링크, 컨트롤 및 입력 서식은 초점을 받지 않은 객체들로부터 구분될 수 있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 오류 유형 2는 초점 또는 키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요소가 시각적으로 표시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 세번째 오류 유형으로는 요소의 진행 순서에 의미가 있으나 키보드 접근 순서가 의미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초점 이동의 주의사항
- 초점 이동의 주의사항으로 nfocus=“this.blur();“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응답시간 조절
조작 가능의 개념조작이란 사용자의 입력 및 컨트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정지 기능 제공
응답시간 조절
- 응답시간 조절이란 제한된 시간 안에 요구되는 지시나 읽어야 할 내용이 있는 콘텐츠의 경우 그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응답시간 조절 검사항목
- 응답시간 조절 검사항목은 원천적으로 정해진 시간이 해당 콘텐츠의 중요한 목적이 되거나 수단이 되는 경우를 예외로 하고 있습니다.
- 오류유형으로는 제한 시간을 연장하는 방법에 제한 시간이 있는 경우입니다.
- 응답시간 조절의 주의사항으로는 원천적으로 콘텐츠의 이용에 따르는 시간 조절을 허용할 수 없는 콘텐츠는 예외로 인정 하고, 검사대상은 자동전환 페이지(Redirection page), 제한시간 연장, 제한시간 만료 경고 등이 해당된다는 것입니다.
댓글
© 2018 webstoryb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