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접근성의 미래
현재 가장 큰 웹 전근성의 문제점 중 하나는 마크업 기술 중심으로 움직인다는 점입니다.
- 접근성과 관련된 국제표준은 이미 2008년에 신기술을 고려하고 HTML중심의 웹WCAG 1.0에서 다양한 신기술을 고려한 WCAG 2.0으로 변화가 있었습니다.


모바일 접근성
- 해당 영역에 따라 조금씩 특성에 맞추어 줄 때 실제 실무자들에게 가이드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각광을 받고 있는 스마크워크센터에 대한 스마트워크 접근성을 위해 2012년 7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장애인 스마트워크 접근성 가이드북’을 발표했습니다.
- 2009년 아이폰의 도입을 계기로 국내는 물론 전세계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증했습니다. 스마트폰 예상 출하량은 그림과 같이 2007년 0.99억대에서 2016년 8.5억대로 약 9.5배 수준으로 증가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12년 하반기에 다양한 장애유형을 가진 사용자들과 함께 IT를 활용한 장애인 복지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주도한 경험이 있습니다.
- 인터뷰를 했던 사용자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모바일 서비스라고 강조했습니다. 버스가 오는 것을 알려주더라도 지금 내 앞에 있는 버스가 몇 번인지 알아야 탈 수 있는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직접 가지고 다니는 정보시스템이기 때문에 근거리 통신 기술 등을 활용하여 내 앞의 버스 번호를 알려줄 수 있지 않느냐는 것입니다. 실제 장애인들을 위한 접근성은 지침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필요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을 때 효과가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접근성
소프트웨어 접근성이란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운영체제 및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소프트웨어 접근성은 1998년도 미국 재활법 제508조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해당 내용을 체크리스트화하여 미국에서는 법으로 의무화하였고, 국내에서도 2013년에 소프 트웨어 접근성 지침 2.0을 국가표준으로 개정중 입니다. 소프트웨어 접근성 지침 1.0의 기준으로 총 12개의 검사항목이 있습니다.

기타 접근성
- 각종 IT와 가전제품들은 눈부신 기술의 발전과 혁신으로 급속도로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신체기능이 저하된 장애인과 고령자 등에 대한 접근성은 취약한 편입니다.최근 선진국을 포함하여 국제적으로는 관련 기술개발과 법제정 등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국내 기업도 소비자 층을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제품 접근성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 가전접근성포럼에서는 국내 접근성 법제화 방안과 휴대폰, TV, 냉장고, 세탁기, 밥솥, 정수 6 종으로 지정하여 가전제품 접근성 가이드라인 제작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 모든 장애인들도 비장애인과 차별 없이 제품의 접근성 기능이나 대체 수단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해야 하는 가전제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과 기준이 제시될 것입니다. 수많은 제품에서 장애인뿐만 아니라 고령자, 비장애인까지도 생각하는 접근성과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댓글
© 2018 webstoryboy